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ETF란 무엇인지(ft.첫 미국 ETF 매수 기록)

by 꿈치s 2024. 4. 1.
반응형

미국 ETF매수를 해보면서 기록을 하려 한다. ETF는 나같은 초보 투자자에게 많이들 추천하는 방식이다. 나 또한 잘 모르기 때문에 일단 한주씩 매수해가면서 공부해보려 한다.

 


ETF란?

 

ETF는 여러 개별 주식을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 상장시켜 하나의 주식처럼 거래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등을 각각 매수하려면 몇백만원의 큰 돈이 필요하지만 이를 하나로 묶어둔 ETF 한주를 사게 된다면 몇십만원으로 여러 종목의 주식을 살 수 있다. 하지만 애플1주가 아닌 소수점으로 구매하게 되는 개념.

 

 

ETF는 '벤치마크 지수'라고 불리우는 기준이 되는 지표가 있다. 벤치마크 지수는 주가가 될 수도 있고 에너지, 금융, 천연가스, 금 등 각 추종하는 영역에 따라 ETF성격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S&P500, 코스피 지수 등을 추종하는 주가지수/ 금,은,천연가스 등으 대표 업종을 추종하는 상품지수/장기채,중기채 등 채권 지수를 추종하는 채권지수/주가와 반대방향으로 가는 인버스 지수/지수 변동폭을 2배 또는 3배 확대한 레버리지 지수 등이 있다. 

 

왜 굳이 ETF를 사나?

나도 처음엔 왜 굳이 ETF를 사야하나?라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개별종목을 초보가 공부하기엔 너무 어렵고 방대하다.

 

예를 들어 내가 로봇투자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해서 그쪽에 투자하고 싶으나 어느 회사가 있는지 등 리포트를 읽고 공부해야 할 것이 너무 많다. 하지만 해당 영역의 ETF를 구매하면 전문가들이 다 알아서 포트폴리오를 짜주기 때문에 나는 약간의 수수료만 지불하고 맡기면 되는 것이다.

 

또한, 초보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국에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사는 경우 시장수익률만큼은 따라갈 수 있기 때문에 예금이나 적금을 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손실이 나도 그 책임은 본인에게 있는 것.

어쨌든 지수 차트를 보면 장기간 우상향 하므로 안정적인 ETF를 매수해두면 장기적으론 상승할 것이라 본다.

 

ETF는 분산투자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S&P500지수를 따르는 대표ETF인 SPDR S&P500 Trust ETF(티커:SPY)의 경우 505개의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시가총액 비중으로 구매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 분산투자를 한 효과가 있는 셈이다.

 

초보 투자자라면 일반적으로 아래 ETF3종을 추천하더라.(티커 기준)

- DIA : 다우존스 산업지수

- SPY: S&P500 지수

- QQQ: 나스닥100 지수


미국 ETF 첫 매수 기록

나 또한 우리 딸랑구를 위해 기존에 조금씩 적금해왔는데 이제 미국주식으로 사주려고 한다.

우리 아이에게 약 20년 후에나 줄 금액이니 안정적이고 시장수익률을 따를 수 있는 장기투자 기준으로 투자하려고 하다보니 일단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구매해보았다. 

 

일단 S&P500 인덱스를 추종하는 Vanguard s&p500 ETF(티커: VOO)를 1주 구매해보았다. 왜 SPY지수를 안사고 VOO지수를 샀냐고 묻는다면 수수료 때문이다. 같은 S&P500지수를 추종하나 SPY의 수수료는 연간 0.09%이고, VOO의 수수료는 0.03%이다.

 

일단 1주를 구매했고, 483.06달러로 체결하였다. 체결 당시 환율이 1,346.5원이니 대략 65만원에 1주 매수.

미국 S&P500지수를 추종하는 VOO를 구매한 기록화면

 

 

참고로 해외ETF를 주문하려면 아래 화면 순서대로 들어가면 된다.

구매하는 법은 미국주식을 사는 방법과 동일하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길. 

>> 미국주식 사는방법 알아보기

해외ETF를 구매하기 위한 화면

 

 


지금까지 ETF가 무엇이고 내가 실제로 매수한 ETF에 대한 기록에 대해 소개해보았다.

앞으로도 계속 기록할 예정이니 나의 기록글들이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끝_.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