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도에 가장 주목하는 국가는 바로 인도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도의 전망과 인도 ETF인 인도니프티50 ETF에 대해서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중국 다음, 인도?
최근 중국은 증시가 회복되지 않으면서 공산주의 국가로써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전세계는 중국이 아닌 다른 신흥국을 찾고 있으며 가장 유력한 국가가 인도이다.
또한, 미국도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가 필요하며, 바로 인도를 열심히 밀어주고 있다.
인도는 24년 현재 세계1위 인구수를 보유한 국가이다. 또한, 젊은층도 많기 때문에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으로 새로운 생산, 공급하는 국가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인도로 생산 기지를 재개편하고 있으며, 인도의 정부도 이를 환영하고 있다.
참고로 애플의 핸드폰도 인도에서 생산할 예정이며 현대차 등 많은 기업들이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다.
14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는 전 세계의 30%의 중산층이 인도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는 생산 뿐만 아니라 수요의 주요 거점으로도 기대된다. 애플의 대표 팀 쿡도 인도에서 애플스토어를 개막식에 참석하며 이슈가 되었었다.
인도의 많은 인구수와 친 성장 정책을 유지하며 넥스트 차이나로 기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성장가능성에 대한 높은 기대를 받고 있으며, 2030년에는 전세계 시가총액 3위를 예상하고 있는 중이다.
인도 ETF - 인도니프티(Nifty)50
우리나라에서 인도 관련 주식을 찾더라도 인도 증시에 직접적인 투자가 어렵다. 물론 기업을 찾기도 어렵겠지만 말이다. 따라서 인도 관련주를 찾고 있다면 인도 기업으로 구성된 ETF를 추천해본다.
인도 관련 ETF는 인도니프티50 ETF이다. 해당 ETF는 삼성운용자산(KODEX)와 미래에셋증권(TIGER)의 두 군데에서 발행한 ETF가 존재한다.
- KODEX 인도Nifty50 ETF(453810)
- TIGER 인도니프티50 ETF(453870)
위의 두 ETF 모두 인도증권시장에 유통되는 우량기업 50개의 기업의 주가지수를 따른다. 추종하는 지수는 Nifty50 index 이다. Nifty50index는 우리나라 코스닥, 코스피 지수처럼 인도의 대표 지수이다.
상위 50개 기업은 인도의 우량기업 50개 기업으로 되어있으며 1위 배분 기업은 HDFC Bank로 인도의 최대 민영은행이다. 그 다음으로는 에너지 산업이 주력인 인도 시총1위 Reliance Industries 기업이다.
수수료
가장 중요한 수수료는 KODEX 인도니프티50은 0.4445%이며, TIGER 인도니프티50은 0.5083%이다.
배당(분배금)
두 ETF모두 분배금(배당금)이 있다. 1/4/7/10월 마지막 영업일에 배당기준일이 정해지고 7영업일 이내에 배당을 해준다.
지금까지 4번의 배당을 했는데, 배당금은 1주당 20~50원 내외에 있다. KODEX가 배당금이 살짝 더 높은 느낌이다.
지금까지 인도 ETF인 KODEX 인도니프티50 ETF와 TIGER 인도니프티50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인도시장을 주목하고 있다면 장기적으로 위의 ETF의 흐름을 계속 살펴보면 좋을 듯 하다.
이 글은 참고용이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잊지마시길!
그럼 끝_.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비트에서 코인 사는 방법 간단 정리 (2) | 2024.11.12 |
---|---|
미국주식 시간 정리(서머타임, 서머타임 외) (0) | 2024.07.17 |
동시호가의 의미, 거래방법, 거래시간, 예시 정리! (0) | 2024.06.26 |
온디바이스 AI의 단점 4가지 (1) | 2024.06.11 |
비트코인, 반감기가 뭘까? (0)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