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엔비디아 주가 및 기업분석

by 꿈치s 2024. 3. 7.
반응형

엔비디아는 1991년에 상장해서 꾸준히 승승장구하고 있는 미국 기업 중 하나다.

IPO 상장시 주당 12달러였던 엔비디아는 5번의 액면분할을 거치고도 현재는 890달러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기업이다.

 

현재 나스닥 지수가 계속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꺾이지 않고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시가총액 6위에 달하는 엔비디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엔비디아(NVDA) ?

엔비디아는 GPU(그래픽처리장치)와 AI에 기반한 반도체를 제조 및 기술 개발하는 미국 기업이다.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하는 챗GPT와 더불어 첨단 AI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 팹리스, 파운드리 기업 무엇일까?

 

온디바이스 AI가 5차 혁명이라 일컬을 만큼 큰 테마이기 때문에 엔비디아는 꾸준히 승승장구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클라우드 제공 기업들이 주 고객인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 센터는 엔비디아의 매출의 90%이상을 차지할 만큼 크다. 

그 외에도 자율주행, 게이밍, 메타버스가 주요 사업부문이며 GPU를 활용하여 딥 러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 분석

 

아래의 사진은 야후파이낸스와 인베스팅닷컴을 참고하였다.

 

사업개요

엔비디아는 시가총액이 2.217조 USD이다. 금일(3월 7일) 887달러로 마감하였다. 

52주간의 주식 변동폭을 보면 최저 222.97달러에서 최고 897.24달러로 4배가량 차이가 난다. 

엔비디아 사업개요

 

 PER은 74.60으로 주가수익비율(당기순이익 대비 주가 비율)이 74.6이다. 

>> 주식 용어 정리 보기

 

차트

차트를 보면 끝없이 우상향하는 것이 보인다. 

엔비디아 차트

 

 

 

Valuation

과거 per(trailing p/e)는 72.07이고 예측 per(forward p/e)는 34.97이다. 주가 하락을 예측하기 보다는 당기순이익 증가로 인해 per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엔비디아 밸류에이션

 

 

당기순이익률(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 48.85%,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61.59%로 높다. 

또한 ROA는 48.85%, ROE는 91.46%로 매우 높다. 

엔비디아 측정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25.73%로 작은 편이다. 굳.

 

손익계산서

총매출은 20년도에 166억달러, 21년도 269억달러, 22년도 269억달러, 23년도 609억달러이다.

20년도 대비 약 4배가량 상승한 듯 하다.

 

영업이익은 20년도 45억, 21년도 100억, 22년도 55억, 22년도 329억달러이다. 

세후 당기순이익은 20년도 43억, 21년도 97억, 22년도 43억, 22년도 297억달러이다. 

엔비디아 손익계산서

 

 

 Earnings

아래 투명 동그라미는 예측한 실적이고 초록색 동그라미는 실제 실적이다.

매 해마다 예측을 상회하는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엔비디아 실적(예상,실제)

 

 

전문가의 의견

3월 기준으로 보면 strong buy는 7명으로 전월 대비 11명이나 줄어들었다.

buy 또한 2월에는 30명임에 반해서 3월에는 14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그래도 많이들 사라고 추천하는 듯.

 

눈여겨 볼 점은 sell을 추천하는 전문가도 3월에는 나왔다는 것이다. 이미 많이 올랐다고 판단하는걸까?

엔비디아 전문가의 의견

 

 


지금까지 엔비디아의 기업과 주가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나는 오늘 엔비디아의 소수점 주식을 매수했다.

>> 소수점 주식 매수하는 방법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가 앞으로도 계속 승승장구함에 따라 엔비디아가 얼마나 더 오를지, 혹은 떨어진지 궁금해진다.

암튼 모두 성투하시길

끝_.

 

반응형